본문 바로가기
코인

체인링크: 탈중앙화 오라클 네트워크의 역사, 기술, 그리고 LINK 토큰

by 포리pori 2025. 3. 24.
반응형

체인링크

체인링크는 탈중앙화 오라클 네트워크로, 스마트 계약이 온체인 데이터뿐만 아니라 오프체인 데이터에도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된 블록체인 기반 인프라입니다. 체인링크는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LINK 토큰을 통해 작동하며, 외부 데이터를 온체인 스마트 계약으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데이터의 무결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체인링크의 역사

체인링크는 2017년 세르게이 나자로프(Sergey Nazarov)와 스티브 엘리스(Steve Ellis)가 공동 창립했으며, 같은 해 코넬 대학교의 교수인 아리 줄스(Ari Juels)와 함께 체인링크 프로토콜 및 네트워크를 소개하는 백서를 발표하며 시작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블록체인과 오프체인 환경을 잇는 '다리'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되었습니다. 2019년에는 체인링크 네트워크가 정식으로 출시되며 스마트 계약과 온체인 데이터 제공에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체인링크는 2018년에 '타운 크라이어(Town Crier)'라는 신뢰 실행 환경(TEE) 기반 오라클을 통합했습니다. 타운 크라이어는 HTTPS 기반의 웹 소스를 이더리움 블록체인과 연결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술로, 아리 줄스 교수도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이후 2020년에는 코넬 대학교 프로젝트인 'DECO'를 도입하며 기능을 확장했습니다. DECO는 제로 지식 증명(Zero-Knowledge Proof) 방식을 통해 민감한 정보(예: 생년월일) 노출 없이 사용자가 블록체인 오라클에 특정 정보의 진위를 증명할 수 있는 프로토콜입니다. 2021년 4월에는 두 번째 백서인 'Chainlink 2.0: Next Steps in the Evolution of Decentralized Oracle Networks'를 통해 탈중앙화 오라클 네트워크의 역할을 확장하는 청사진을 발표했습니다. 이 백서에서는 온체인 코드와 오프체인 서비스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스마트 계약(Hybrid Smart Contracts)' 개념을 도입해 체인링크의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체인링크의 기술

체인링크의 탈중앙화 오라클 네트워크는 블록체인이 오프체인 데이터와 연산 리소스에 안전하게 연결될 수 있는 오픈소스 기술 인프라입니다. 체인링크 네트워크의 노드들은 다양한 출처의 데이터를 수집, 검증한 후 이를 온체인에 전달해 스마트 계약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합니다. 체인링크는 외부 정보를 블록체인에 전달하는 것 외에도 여러 가지 오프체인 연산 기능을 제공합니다.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검증 가능한 난수 생성기(Verifiable Random Function, VRF)'와 '데이터 피드(Data Feeds)'가 있습니다. 체인링크 VRF는 탈중앙화 게임에서 난수를 생성할 때 활용되어 공정하고 조작 불가능한 게임 결과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ZDNet은 체인링크의 난수 생성 기능이 게임 결과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기술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데이터 피드는 선거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온체인으로 전달하는 데 사용된 사례도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 조작 방지 및 투명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 걸쳐 유용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체인링크의 LINK 토큰

체인링크 네트워크에서는 노드 운영자들이 LINK라는 네이티브 암호화폐로 보상을 받습니다. LINK는 ERC-20 기반의 확장 규격인 ERC677을 따르는 토큰으로, ERC-20의 모든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추가 기능을 포함한 확장성을 가집니다. LINK 토큰은 사전 채굴된 상태로 유통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물량이 발행 주체인 체인링크에 의해 보관되고 있습니다. 나머지 일부는 초기 코인 공개(ICO) 방식을 통해 소매 투자자들에게 판매되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법적 논란이 일기도 했지만, LINK는 이후 꾸준히 시장에서 활용도를 높이며 주요 암호화폐로 자리 잡았습니다. LINK 토큰은 스마트 계약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오프체인 소스에서 가져와 제공하는 '데이터 페이로드(Data Payload)'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노드 운영자가 스마트 계약을 위한 데이터를 조회하고 제공하는 대가로 LINK 토큰을 받는 경제적 구조를 형성하게 됩니다. 또한 계약 생성자가 요구하는 조건에 맞는 노드 운영자들은 LINK를 담보로 예치하는 방식으로 신뢰성을 보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LINK 토큰은 ERC-20 호환 지갑에서 보관할 수 있으며,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대부분의 지갑과 호환됩니다. 이는 LINK 토큰의 높은 접근성과 편리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체인링크는 다양한 탈중앙화 서비스 및 데이터 제공을 통해 블록체인 생태계 전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점차 그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는 프로젝트입니다.

반응형